본문 바로가기
연금 수당

공무원 상여금 명절휴가비 연가보상비 지급기준 지급액

by 플라스틱 숟가락 2023. 7. 2.
반응형

목차

2024년 수당지급캘린더
명절휴가비
연가보상비
성과상여금

 

1. 2024년 공무원 수당 지급캘린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지급항목 복지포인트
정근수당
명절휴가비 성과상여금 x x 연가보상비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지급항목 정근수당 x 명절휴가비 x x 연가보상비

 

공무원이 받는 보수 이외의 수당을 월별로 정리해 보았다. 매월 받을 수 있는 정액급식비와 직급보조비, 본인의 가족관계에 따라 받는 금액이 달라지는 가족수당, 정근수당 가산금 등은 제외하고 목돈처럼 들어오는 수당을 위의 표로 나타내보았다. 1월에는 복지포인트와 정근수당이 들어오며 2월, 3월까지 월급 + α가 연달아 들어와 떨어질대로 떨어진 근로의욕을 고취시킨다. 한껏 부풀어 오른 근로의욕만큼이나 공무원의 지갑이 두툼한 시즌이 바로 연초 1분기일 것이다. 연가보상비를 월급 + α 로 넣는 것에 대해서 다소 의견이 분분할 수 있다. 여타 다른 수당들과는 성격이 다르다. 본인의 연가를 돈으로 보상 받는 것으로 이것이 왜 월급 + α냐 하면 할 말이 없다. 나는 연가도 최대한 아껴 돈으로 보상받는다. 그러나 보상비 금액만 근로자들의 최저시급이나 개인의 휴식을 가치판단하자면 연가보상비가 개손해인건 확실하다. 

 

저번의 초과근무수당에 이어 오늘은 각종 수당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2023.06.30 - [연금 수당] - 공무원 복무 관련 초과근무수당 지급기준 지급액

 

공무원 복무관련 초과근무수당 지급기준 지급액

공무원 초과근무수당에 대해 알아보겠다. 목차 정규근무시간 시간외근무수당 야간근무수당 휴일근무수당 공무원 복무규정 내 근무시간 점심시간(12~13시)는 근무시간에서 제외하고 9시~18시까지

ironspunofrebel.tistory.com

2. 명절휴가비

설, 추석 명절에 연 2회에 지급하는 항목으로 지급액은 다음과 같다

명절휴가비 = 월봉급액 * 0.6이다.

그러나 경찰간부 후보생, 사관생도, 병사 등 후보, 교육생들에게는 지급되지 않는다. 연 2회 지급이라 1년에 받는 명절휴가비는 봉급액 * 1.2이다.

지급기준 일행직 9급 3호봉 8급 8호봉 7급 13호봉 6급 20호봉
명절휴가비 1,092,900원 1,439,940원 1,880,820원 2,404,860원

 

인사혁신처

3. 연가보상비

 

공무원들에게는 자신들의 재직기간에 따른 유급휴가를 받기 마련이다. 일이 있어 쓰거나 쉬고 싶을 때 꺼내 쓴다. 그러다 연말까지 못 쓰고 남으면 돈으로 보상받을 수 있게 된다. 연가보상비는 1년에 총 2번, 6월달과 12월에 조사를 해서 보상비를 지급한다. 돈으로 보상받고싶지 않다면 내년으로 이월할 수도 있다. 연가보상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연가보상비 1일당 = 월봉급액 * 0.86 / 30

 

6월 연가보상비는 연가가 10일 이상 남은 자에게 연가 5일만 연가보상비로 환급받을 수 있으며 12월에는 남은 연가를 모두 환급받을 수 있다

 

직급 기준 일행직 9급1호봉 일행직 9급 3호봉 8급 3호봉 8급 5호봉 7급 3호봉
1일당 연가보상비 50,726원 52,216원 55,160원 60,510원 61,535원
직급 기준 6급 20호봉 6급상당 20호봉 군인 상사 15호봉 소령 10호봉 교원 30호봉
1일당 연가보상비 104,108원 115,412원 104,958원 124,940원 126,633원

 

경제적인 여건이 안좋은 외벌이 가장이거나 주식, 코인의 떡락으로 열심히 원화채굴을 해야 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연가보상비는 가성비가 안 나온다. 나는 5일 보상받았다... 30만 원

 

4. 성과상여금

소속장관은 6급 이하의 공무원들에 한해 근무성적, 업무성적이 우수한 사람들에게 성과상여금을 지급한다.
전년도 12월 31일까지 2개월 이상 근무해야 지급 대상에 포함된다.

공무원 보수규정에는 성과가 뛰어난 사람에게 차등 지급한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연공서열이 중요한 공직사회에서는 사실상 거의 짬순이다. 성과상여금에는 지급등급이 있는데 S, A, B, C 네 등급로 나뉜다. 본인의 계급에 맞는 금액(지급기준액)에 지급등급별로 퍼센티지를 매겨 성과상여금을 결정한다.

성과상여금 = 지급기준액 * 지급등급
S등급(상위 20%이내) A등급(~60%) B등급(~90%) C등급(~100%)
지급기준액 *152.5% 지급기준액 * 125% 지급기준액 * 105% 지급안함

 

성과상여금을 지급하는 기관마다 등급 및 지급률을 달리할 수 있어 본인이 속한 기관의 성과급 체계를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기관은 S등급을 뛰어넘는 SS등급이 있다던가 A등급이 상위 30%인 경우도 있다. C등급은 지급을 안 한다고 나와있지만 지급기준에만 충족된다면 못 받는 사람은 없다. 작년 근무실적이 없는 신규직원이나 작년에 근무한 일수가 2개월이 안된다던가 하면 지급 대상이 안된다.

 

지급기준액은 아래의 표와 같다. 자신이 9급 5호봉이더라도 성과상여금은 10호봉을 기준으로 산정된다.

계급 9급(10호봉) 8급(12호봉) 7급(15호봉) 6급(18호봉)
지급기준액 2,326,900원 2,736,600원 3,294,500원 3,874,800원
계급 상당 9급상당(10호봉) 8급상당(12호봉) 7급상당(15호봉) 6급상당(18호봉)
지급기준액 2,453,500원 2,836,600원 3,425,700원 3,891,900원

 

 

2023.12.23 - [연금 수당] - 2024년 공무원 봉급 수당 얼마일까?(feat. 경찰소방)

 

2024년 공무원 봉급 수당 얼마일까?(feat. 경찰소방)

2023년이 끝에 다다랐습니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연초에 계획했던 일들이 얼마만큼 달성했는지, 아쉬웠던 점은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확인해보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요새

ironspunofrebel.tistory.com

2023.09.27 - [연금 수당] - 공무원 월급 호봉인상액 봉급표 분석

 

공무원 월급 호봉인상액 봉급표 분석

2024년 공무원 보수가 전계급 2.5% 인상되었다. 매년 승급시기에 호봉이 올라가면서 봉급 역시 올라간다. 공직생활 초기에는 많이 올라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인사적체가 심한 6급의 말년까지 가면

ironspunofrebel.tistory.com

2023.06.30 - [연금 수당] - 공무원 복무관련 초과근무수당 지급기준 지급액

 

공무원 복무관련 초과근무수당 지급기준 지급액

공무원 초과근무수당에 대해 알아보겠다. 목차 정규근무시간 시간외근무수당 야간근무수당 휴일근무수당 공무원 복무규정 내 근무시간 점심시간(12~13시)는 근무시간에서 제외하고 9시~18시까지

ironspunofrebel.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