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기부자 혜택
3. 참여방법
4. 답례품 비교분석
5. 결론
1. 개요
올해 1월부터 고향사랑 기부제가 실시되었다.
일자리, 학업 등을 이유로 타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본인의 출신 지역에 기부를 할 수 있는 제도이다.
본인의 출신 지역 이외 모든 지역에 기부가 가능하며 단, 본인이 현재 거주 중인 지자체에는 기부를 할 수 없다.
예)
① 전라북도 익산시에 거주할 경우 전라북도 전주 기부가능, 전라북도 익산 기부불가.
②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거주할 경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기부 X, 부산광역시 영도구 기부가능.
다가오는 9월 말 민족의 명절 추석이 다가오고 있다. 가까운 친지나 부모님, 그리고 고마움을 표시하고 싶으신 분들에게 어떤 선물을 준비해야 하나 고민들이 많을 거라 생각한다. 내 돈 주고 사 먹기는 아깝지만 선물로는 몇 만 원이고 쓸 수 있는 우리들이기에 추석 선물을 고민하면서 절세 혜택까지 가지고 가실 수 있는 고향사랑기부제를 추석선물로 활용해보고자 했다. 절세와 더불어 지역 특산물로 답례품을 받을 수 있는 고향사랑기부제가 추석선물로 적합한지 답례품의 효율을 비교 분석해보고자 한다.
2. 기부자 혜택
ⓛ 기부금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기부금 10만 원까지는 100% 세액공제가 가능하며 10만 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16.5%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2023.07.29 - [연금 수당] - 세액공제 16.5% 효과 수익률로 따져보기
세액공제 16.5% 효과 수익률로 따져보기
연말정산을 한 번이라도 해봤던 사람이라면 세액공제와 소득공제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알고 있을 것이다. 공제를 챙기냐 안 챙기냐에 따라 세금을 더 내야 하거나 돌려받을 수 있다. 연초에
ironspunofrebel.tistory.com
예) 500만 원 기부 시
10만 원 세액공제 + 490만원 * 16.5% = 10만원 + 80.5만 = 90.5만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② 답례품을 받을 수 있다. 기부금의 30% 한도 내에서 답례품을 받는다.
예) 전라북도 전주시에 10만원 기부 시 전주시 답례품 몰 내에서 쓸 수 있는 3만 원 포인트를 지급받음.
3. 참여방법
고향사랑기부제 참여방법은
고향사랑 e음 접속 → 답례품몰에서 원하는 물품 찾기 → 지자체 확인하고 기부하기
회원가입 필수!
4. 답례품 비교
고향사랑기부제는 본인의 실 거주 중인 주소지를 제외한 곳에 기부하면 기부받은 지자체는 기부자에게 감사의 의미로 답례품을 제공한다. 답례품은 위에 설명했듯이 기부금액의 30%를 포인트로 지급한다. 고향사랑 e음의 답례품몰에 들어가면 지자체마다 등록해 놓은 답례품의 가짓수가 엄청나다. 제철음식, 지역상품권, 관광상품, 생활용품, 가공식품 등등 별의별 답례품이 있다. 제사도 좋지만 젯밥에도 관심이 가는 법! 세액공제로 받는 금액과 답례품포인트, 그리고 답례품이 시중에서 어떤 가격으로 유통되는가를 몇 가지의 사례를 통해 확인해 보자.
답례품 포인트, 세액공제액 계산
30,000P = 기부금 10만 원 = 세액공제액 10만원 = 사실상 꽁으로 3만 원 받는 거임.
45,000P = 기부금 15만 원 = 세액공제액 10.8만원 = 사실상 4.2만 원 주고 사는 거임.
50,000P = 기부금 17만 원 = 세액공제액 11.1만 원 = 사실상 5.9만 원 주고 사는 거임.
60,000P = 기부금 20만 원 = 세액공제액 11.6만 원 = 사실상 8.4만 원 주고 사는 거임.
100,000 P = 기부금 34만 원 = 세액공제액 14만 원 = 사실상 20만 원 주고 사는 거임.
200,000 P = 기부금 67만 원 = 세액공제액 19.4만 원 = 사실상 47.6만 원 주고 사는 거임.
이제는 답례품과 시중가격을 비교해 보자.
① 완도 전복 60,000P (기부자 근소하게 패배)
완도 전복 7~9 미 1.5kg가 60,000P이다. 기부금 20만 원짜리이다. 사실상 8.4만 원 짜리라는 얘기. 같은 회사 제품을 시중에서 산다고 하면 대략 5만 8천 원짜리이다. 차라리 기부 안 하고 시중 제품을 사는 것이 더 낫다.
② 한우 등심 1kg 200,000 P (기부자 압도적인 패배)
답례품몰과 네이버 쇼핑에서 판매하는 동일 상품이다. 비교를 해보자면 67만 원 기부하고 19.4만 원 세액공제받고 사실상 47.6만 원 내고 한우 등심 1kg을 답례품을로 받을 수 있고 시중에서는 20만원이면 산다.
③ 한우 불고기 1kg 30,000P (기부자 승)
한우 불고기 1kg 30,000P라 사실상 꽁으로 받는 것. 시중에서는 1kg에 대략 5만 원가량 한다.
④ 한우 1+ 채끝살 1kg 100,000 P (기부자 압도적 패배)
채끝살 1kg 시중가격 900g에 11만 원이다. 사실상 20만 원 내고 11만 원짜리 사는 꼴이다.
⑥ 6년근 고려홍삼절편 20g 10개입 45,000P(기부자 근소하게 승)
6년근 고려홍삼 45,000P면 15만원을 기부해야한다. 세액공제액 10.8만원을 돌려받고 나머지 4.2만원 가량을 주고 사는 꼴이다. 시중가격 5.3만원이면 구매할 수 있는 것을 보면 1.1만원의 혜택을 볼 수 있다.
5. 결론
오늘은 다가오는 추석에 고향사랑기부제를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비교분석을 해보았다. 세액공제와 지역특산품을 답례품으로 받을 수 있는 고향사랑기부제이지만, 답례품 몰에서의 답례품포인트가 시중가격과 거의 1:1의 비율이었다. 따라서 기부금의 30%를 포인트로 주는 고향사랑기부제도는 일반 시중에서 추석선물을 준비하는 것보다 훨씬 비효율 적이다. 추석선물을 준비하는 사람은 시중에서 준비하고 고향사랑기부제에서는 10만 원 기부하고 답례품 30,000P 받고 세액공제 10만원 받는 것이 기부자에게 유리하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 인하 직전, 채권에 투자해야하는 이유 (0) | 2023.12.17 |
---|---|
채권 투자하기 편한 증권사(HTS) TOP 7 (1) | 2023.12.13 |
맥쿼리인프라 유상증자 청약하는 방법!(feat. 투자대상 분석) (1) | 2023.08.01 |
유로 엔화 환율 하락 원화 환율 상승. 지금이 환전 적기 (0) | 2023.06.14 |
엔화 환율 달러 환율 내려가고 있다. (0) | 2023.06.14 |